기억하고 싶은 것

  • 애자일(agile)은 불확실한 세상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론이다.
  • 애자일의 핵심 구동 원리는 “함께(협력) 자라기(학습)“이다.
    • 학습: 새로운 (불확실한) 상황에서 계속 배우며 맞춰나갈 수 있는 능력
    • 협력: “애자일 확률론” - 한 명이라도 성공할 수 있으면 다 같이 성공할 수 있다.
  • 애자일의 씨앗 “고객에게 매일 가치를 전하라.”
    • 고객은 누구인가? 어떻게 점진적으로 가치를 전할 것인가? 무엇이 가치인가? 전해지고 있는가?
  • 애자일 도입 성공 요인 - 성공적으로 도입한 실천법이 많을 수록 프로젝트 성공도가 높다.
    1. 고객 참여 (진짜 고객이 아니더라도 고객을 대표하는 사람 - 프로젝트 성패를 좌우하는 사람)
    2. 코드 공유 / 리팩토링(refactoring) / 자동화 테스트
    3. 짧은 개발 반복 주기 - 애자일 성숙도가 높을 때 특히 효과적
  • 애자일 코치의 중요성
    • 굳이 팀장/리더가 아니더라도 상관없다. 되고자 하면 되는 것
    • 애자일 코치의 특징
      1. 의사소통 스타일
      2. 리더십 & 코칭 스타일
      3. 회고를 통한 개인적 학습 능력
      4. 그 외에는 책 참고
        즉, 팀원과 함께 자랄 수 있는 사람
  • 슈퍼슈링크(supershrink) 효과
    • 상담처럼 예측하기 어렵고 불확실성이 큰 ‘복잡한 도메인’에서는 방법론 보다도 치료자가 중요하다.
    • SW 개발도 상담 만큼이나 복잡하니까 “누가 참여하는가?”가 중요하지 않을까…
  • 애자일을 애자일스럽게 도입하기
    • 애자일 자체가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론인데 ‘확실성’ 위에 진행하려고 하면 망한다.
    • 애자일 방법론 그 자체보다는 애자일 정신을 갖고 방법론을 준비하는 게 맞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