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리: 선택하고 제거하고 강조하라
- 아이디어를 분명하게 정의하지 않으면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낮아진다.
- 섣부른 논쟁은 아이디어를 질식시킨다.
- 직원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더 명료하게 다듬어나가도록 지원하는 노력 → 장기적으로 볼 때 시간을 크게 절약해줄 것
-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마련해나가도록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것
- 소중한 아이디어를 외면하거나, 그들이 겪는 문제를 무시하지 않도록 주의
아이디어 정리하기
-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안전한 공간
- 상사의 역할: 아이디어를 논쟁의 혼란 속으로 밀어넣기 전에 직원들이 더 깊이 있게 생각해보도록 자극하기
- 혁신의 흐름이 빨라지기 위해서는, 기업이 아이디어를 분명하게 다듬기 위한 공간/시간을 마련하여 구성원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내놓도록 지원해야 한다.
- ex. 구글 “20퍼센트 시간 프로젝트” : 근무 시간의 20%를 자신의 아이디어를 주제로 심도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격려
- 브레인스토밍 유의사항
- 좋은 아이디어도 있고, 나쁜 아이디어도 있다.
- 새로운 아이디어에 상처를 낸다고 해서 그것을 짓밟는 것은 안디ㅏ.
- ex. 픽사 “플러싱”
- 특정 시간 동안, 나쁜 아이디어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.
- 대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.
- 아이디어를 죽이는 것이 아니라 해결책을 발견하기 위한 목적이다!
아이디어 전달하기
- 듣는 사람이 쉽게 이해하도록
- 상대방을 이해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수록, 아이디어를 더 정확하게 전할 수 있다.
- 직원이 더 정확/분명하게 의사소통하도록 지원해줘야 한다.
- 조지아 오키프 “진정한 의미를 이해하려면 선택과 제거, 강조가 반드시 필요하다.”
- 무엇을 선택/제거/강조할 것인가? → 기준은 당연히 ‘청중’
- 잘 전달하기 위한 핵심은 ‘아이디어’가 아니라 ‘청중’에 대한 깊은 통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