낮은 성과를 내고 급격하게 성장하는 팀원
신입사원에 대한 기대가 크다
- 성장속도가 예상에 미치지 못할 때 체크리스트
- 기대는 충분히 구체적인가? 교육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가?
- 상사가 종종 저지르는 또 하나의 실수: 한번에 너무 많은 업무를 맡기는 것
개인적인 문제가 있다
- 급속한 성장 궤도를 보여준 직원도 개인적인 문제로 갑작스럽게 성과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.
문화적 갈등이 있다
- 조직문화와의 갈등 때문에 동료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직원
- ex. 애플 문화: 시작하기 전에 아이디어를 완벽하게 다듬는 것이 특징
영원한 꼬리표는 없다
- ‘록스타’, ‘슈퍼스타’: 영원한 꼬리표로 사용하면 안된다.
- 훌륭한 상사가 되려면 매일/매주/매년 새롭게 펼쳐지는 현실에 지속적으로 적응해야 한다.
- ‘고성과자’라는 꼬리표도 달면 안된다.
- 우리는 모두 경력 전반에 걸쳐 굴곡을 겪기 때문이다. 학습 모드에 있다가 도전 모드로 이동하기도 하고, 우선과제도 변한다.
구글에서 명령은 통하지 않는다
- 완전한 솔직함의 궁극적인 목표는 혼자서 성취할 수 없는 일을 협력을 통해 만들어내는 것
- ‘두뇌의 벽을 허물기’ :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여, 서로의 생각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할 때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.
- 팀원들을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하기 + 의사결정 결과와 그 이유를 설명하고 팀원들을 설득하기 위해 노력하기
- ex. 저자가 100명의 팀원 모두가 조금씩 일을 나눠서 하는 무작위 방식 대신에, 다섯 개의 소규모 그룹을 만들기
- 권한을 내려놓고 협력에 집중할 때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