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인적 관심
- ex. “러시아 다이아몬드 연마공”
- 그들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러시아 정부가 할 수 없는 일
- 즉, 개인적인 관심을 기울여주는 일이다.
- 물질적인 돈 보다도 신나는 피크닉, 영어 수업, 매주 점심 식사, 러시아 탈출 등
- 인간성은 직원들의 열정을 높이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아닌 도약대다.
- 우린 모두 인간이므로, 직장에서도 마땅히 감정을 지닌 인간으로 대우받아야 마땅하다.
- 업무적인 태도와 맞서 싸우기 위해 “완전한 자아로 일터에 나가라.”
- 개인적 관심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바를 실천하는 것
- 업무 영역을 넘어서서, 더 높은 꿈을 품은 존재로 직원 개개인을 대하는 것이다.
직접적 대립
- 조슈아 코언 “서로 직접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는 문화가 업무 성과를 높이고 관계를 튼튼히 구축하는 핵심 요인”
- 성공과 실패를 모두 언급함으로써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.
- 자기 잘못을 기꺼이 인정하고 자신과 직원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사실을 보여줄 수 있다.
- 팀원들이 자신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.
- 자기 말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.
- 그러나 어느 직원도 당신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면, 그건 팀원들을 충분히 밀어붙이지 않았다는 뜻이다.
- 반대로 팀장이 화가 나거나 불쾌할 만큼 충분히 직접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도록 허용해야 한다.
- 직원에게 가슴 아픈 말을 한다고 해도 “개인적 관심”과 함께라면 최고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.
- 영화 <제리 맥과이어>의 유명한 대사
- “그게 우리의 차이점이라고. 자넨 우리가 싸우고 있다고 생각하지만, 나는 마침내 우리가 대화를 시작했다고 생각해!”